Kate Oh Trabulsi

September 19th, 2014

  After painting for a number of years in oil on canvas as well as working with various materials in sculptures at Parsons as undergrad and grad student, I was fortunate enough to discover Minhwa, a traditional Korean painting style. My interest in traditional Korean painting grew as I was working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n New York City. Having been a volunteer for many cultures’ masterworks at the MET, I started to appreciate my own unique cultural background as a Korean even more. I fell in love with Minhwa’s beauty in its subtle yet powerful lines and colors. With Minhwa techniques, I thrive to create my own works that establishes a tranquil mood, impression of timeless serenity and a beacon of hope for the viewers.

  New York has been my home and constant inspiration for over 20 years. This city is made of such unique and diverse individuals. Having a multicultural family myself, I am reminded everyday how each individual is so different yet capable of creating a colorful and dynamic life here, united as a community. An individual might seem to be one way, a single ‘type’ of some sort, based on their appearance. However we are more than what we seem on the outside. In my series of paintings ‘Spirit, Unity and Enduring Hope’ I want the viewers to be surrounded by colorful flowers that hold diversity, dreams and hope of its own right and be reminded that they already hold their potentials within.    Each one of my work is a prayer, honoring universal cosmic energy within each one of us, as well as celebrating their diversities. 


Moment 2016

My current works reflect on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elements. This harmony is important in life. For example, the sun and the moon are contrasting elements: one to determine the start of the day the other the end.  Yet the sun and the moon coexist perfectly, exhibiting the balance of nature. These celestial bodies affect each other beautifully.

My works consist of paintings that incorporate the duality of contemporary minimalism and traditional Korean art called Minhwa. The two different techniques are brought together to depict the balance mentioned previously. The coexistence of the moon and the sun in the paintings introduce the beauty of harmony. In my works, the sun and the moon are separated through the pigment-based medium. It emphasizes the balance of nature and the separation of each of its own role in life.

Another element crucial to my work is water. To me, water represents a concept of balance. Waterfalls or rivers consistently flow but it does not overflow or falls short. In Eastern culture, harmony in nature is very important.

To be specific, in Far Eastern culture, water is considered to have magical, spiritual, and high power. Women pray with a bowl of purifying water at dawn, usually for health and safety of their family. Water drawn in early dawn is considered as the purest element because of its healing effect. The healing effect of water could be related to the movement, shape and formation of water itself. In this sense praying with water to the sun and moon is equal to praying to the divine being. This custom has been practiced over centuries, even today. This traditional culture and concept is very much important in understanding my work.

Water is amorphous like fire. No mater what type of the water is or where the water is passing through, it is meant to be gathered at some point and keep on flowing over and over. These concepts, unity of circulation and indefinite tolerance, are very important to sustain life. As the flow of water bring one element to another, hope this show delivers the viewer a new experience. 

 

Moment    한국어 작품설명  

저의 작품 속에서 저는 자연의 조화를 표현했고 이것이 저희의 인생의 조화를 이루는 중요함을 말하고 싶었습니다.

예를 들어 태양과 달의 조화; 하나는 하루의 시작에서 다른 하나는 하루의 끝을 뜻합니다. 

그러나 또한 태양과 달은 자연 속에 다름으로이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속성을 빌려 그 조화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저의 작품 속에서 현대 페인팅의 멋과 고대 동양의 민화의 조화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둘의 조화는 먼저 이야기하였듯이 태양과 달의 서로 다른 속에서의 아름다운 조화와 같습니다.

둘의 조화는 각기 다른 삶속에서 하나의 조화를 이루어 가는 아름다움입니다.

저의 작품 속에서 다른 주제는 물입니다. 물은 인연따라 모여진 것입니다. H가 두개모이고, O가 한개만나면 물이 됩니다. 폭포나 강물은 계속 위에서 아래로, 이곳에서 저곳으로 끊임없이 흐르지만 결코 넘치는 일이 없습니다.

해와 달이 만나고, 산과 물이 만나고…

동양 문화에서 자연의 조화는 매우 중요 합니다.  물의 흐름의 시작이 있으면 어느 곳에 만나는 곳이 있게 마련이고 이것의 반복으로 자연 속의 조화를 이루는 것입니다.  이런 물의 흐름의 섭리와 같이 우리의 인생 속에도 각자의 다른 경험과 특성이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자연 속의 하나의 통일을 갖고 있다 생각합니다

 

 

Moment (rEVIEW)

Kate Oh Trabulsi is adding a touch of refreshing beauty to the Chelsea art scene in New York. Her recent exhibition of exquisite flower paintings, with each petal meticulously delineated, was a great success. Kate’s art reflects her view of nature. The current solo exhibition at the K&P Gallery features her version of Min-hwa landscape painting, which she skillfully propels from the traditional to the modern.

Min-hwa, or “people painting,” a folk art popular in Korea from the seventeenth to the nineteenth centuries, reflects the mythology, religion, and the viewpoints of the Korean people. The subject matter, featuring forms from nature, reflects the universal wish for well-being and touches the emotions we all feel in daily life, such as happiness, love, and anger. The paintings were for decorative purposes. Some special forms were for display in the King’s palace. The artists did not sign their works; thus, their names are unknown.

One wall of the exhibition presents striking versions of traditional Min-hwa, works painted in bright pigments and in horizontal format. In these colorful paintings an orange sun and white moon overlook tall peaks with water cascading between them. Undulating waves with rhythmic sprays of water shooting upwards flow across the foreground. A tree springs up from low hills at either edge of the picture, balancing the composition in perfect symmetry.

Kate- was born in South Korea. She has lived in New York for twenty-three years. Her encounters with Min-hwa reconnected her with her roots and her rich cultured background as a Korean. In the exhibition she takes a giant step forward, presenting her personal vision of Min-hwa in contemporary minimalist terms. Moving from traditional to modern, she shifts from a horizontal to a vertical format, as she reflects on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elements.

In the various versions of these tall pictures, the sun and moon are separated by a waterfall floating down the center of each painting, calling our attention to the miraculous balance of nature and to the separation of roles in life. Finally, falling leaves and drifting snowflakes are a reminder that everything in life changes.

By Shirley Glubok, art critic for La Voz Hispana and author of the Art of Ancient Egypt

 

재미작가 케이트 오 의 작품이 갤러리가 밀집된 뉴욕의 예술지구 첼시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그녀가 이번 전시에서 성황리에 선보인 작품은 수려한 꽃과 생동감 넘치는 폭포가 담긴 그림으로, 섬세하고도 개성있게 묘사된 꽃잎 하나하나와 역동적인 물결이 작가의 감성을 그대로 보여준다. 이처럼 작가 케이트 오는 자연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작품으로 표현한다. 이번 K&P 갤러리에서 열리는 초대 개인전에서는, 전통적인 민화에서 현대 창작 민화로 재해석된 그녀의 감각을 엿볼 수 있다.

민화, 혹은 “민중의 회화”는 17세기 부터 19세기까지 한국에서 대중적으로 유행한 민속 예술의 한 갈래로, 신화와 종교 그리고 일반 서민들의 시선을 그대로 보여준다. 주로 가족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염원을 그린 민화는, 우리내 일상을 담은 희로애락의 초상이다. 이러한 그림들은 주로 실용적인 목적으로 실내 공간을 장식하기 위해 사용되었는데, 다른 특별한 형태의 민화는 왕실에서 쓰이기도 했다. 보통 작가가 서명을 하지 않았으므로, 출처는 따로 확인 할 수 없다.

 전시장의 한 쪽 벽면에선 고유의 민화를 보여주고 있다. 수평의 긴 폭의 형태에 밝은 색으로 물들린 케이트 오의 그림들은 단연 이목을 끈다. 이러한 다채로운 색감의 향연속에서 시선을 사로잡는 선홍빛의 해 그리고 새하얀 달이 높은 언덕 위에 자리해있고, 이 사이를 폭포가 빠르고 세차게 내리치고 있다. 이어 위 아래로 리듬감있게 파도치는 물살은 화폭의 전경을 굽이치며 흐른다. 그림의 양끝에 자리한 나무는 얕은 구릉에서 솟아올라 화폭을 채우며 완벽한 대칭성으로 구도에 균형감을 준다.

 고개를 돌려, 우측 벽면에는 수직 형태의 작품들이 사계절의 해와 달 그리고 폭포를 담아 전통 민화의 <일월오봉도>구성을 미니멀하게 표현했다. 떠오르는 달, 솟아오르는 해 그리고 세차게 흘러내리는 물즐기는 서로 다른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사계절을 보여주는 네 점의 그림들은 곧 개개인의 삶에 부여된 각기 다른 역할들을 내포한다. 이어 낙하하는 나뭇잎들과 쏟아지는 폭포의 반작용으로 솟구치는 물살은 대자연의 이치 속에 스스로 일으키거나 움직여 항상 변화하고자 하는 삶의 의지를 우리에게 전달하며 경이로운 자연의 조화를 보여주고 있다. 

작가 케이트 오는 한국 출생으로, 미국 뉴욕으로 건너온지 어느덧 이십여년이 지났다. 작가는 오랜 이민생활에서 우연히 접하게 된 한국의 전통민화를 통해 모국의 정서를 다시 찾게 되었고, 이러한 자극은 빠르고 복잡하게 돌아가는 뉴욕 생활을 다시금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되어 작가로서 그녀만의 작품세계를 새롭게 구축하게 되었다. 

작가 케이트 오의 손끝을 거쳐 탄생된 작품들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어떤 가치가 중요한지 되돌아 보게 한다. 이번전시에선 전통 민화와 현대 창작 민화가 동시에 선보이고 있고, 이러한 동서양이 맞물린 작가만의 독특한 시도는 그녀가 개성있는 민화 작가로 성큼 한 발을 내딛게 하는 동기가 되었다.

By Shirley Glubok

번역- Saneun Hwang 황상은 (뉴욕  school of visual arts에 재학중)


Spirit, Unity and Enduring Hope 2014

In my work, the objects from nature express the mysterious Universe and its energy that harmonizes different spirits, souls and bodies from a full range of spectrum.

Through each flower’s unique shape and color that nests its own unique world inside, I wish the viewers can also witnes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at coexist between everyone’s dreams and ideals.

Each of the bright seeds indicates an individual’s own hopes and dreams while each blossom embraces those colorful and variable seeds of endless possibilities and wishes.

I long for all human beings to stay open minded and learn from the nature’s harmonious order in this Universe while it cherishes each living thing’s uniqueness. I wish that our acceptance of each other’s differences from on another become something to be grateful as well.

In order to share my message on the presence of diversity and mysterious harmony, I will continue to t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my work. Thank you.

 

정신, 화합 그리고 끝없는 희망 (연꽃작품 설명)

이번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함이 있다면 자연의 이미지를 빌려 우주의 놀라운 조화로움을 이야기하고 싶었습니다.

우리의  그리고 육체는 이 범대한 우주속에서 제각각 질서를 유지하면서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우주 만물 속 신비로움와 그 속에서 끝없이 나오는 기운을 통해 천차만별로 다른 우리가, 자연의 미묘함속에서도 서로 어울리며 함께한다는 경이로움을 작품 속에 표현 하고 싶었습니다.

아름다운 과 그 안에 을 그림으로써 하나하나 개인의 과 끝없는  나타내고있고,

각양각색의  그리고 그 안에 존재하는 다채로운 세계를 보며 비슷하면서도 다른, 개개인의 아름다운  이상을 보셨으면 합니다.  꽃 한 송이 한 송이 마다, 다른 색의 무궁한 가능성과 염원을 가진 '씨앗'을 품고있는 것이지요.

우리 모두가 다 같은 모습이 아님에 감사하고, 그렇게 다른 우리가 우주 속에서 을 이루어 간다는 자연의 섭리 앞에 다시금 겸손하게 되고, 각자의 다른 모습을 인정하고 존중해 주어야만 할것 같습니다.

저는 이 그림을 통해 그 다양성과, 신비로움, 그리고 그들이 주는 조화로움을 이야기하고 싶네요.

 

 

由作品想表现出 通过自然体现宇宙的和谐

想在作品里 表现出 我们的灵,魂,肉体在这庞大的宇宙中维持秩序和和谐,又通过从这神秘的宇宙间散发出来的气息 组成千差万别的另外的我们,一起共生的神秘感。

画出 美丽的花和它的花卉种子,表达 个人的梦想和无尽的希望还有无限的可能性;希望能看出那里面存在的多彩的世界,想象出各个人的美好的梦想和异象。

花的每朵花瓣,都蕴藏着不同颜色的无穷的可能性和愿望的种子,待那种子发芽时,表现出带有领悟性质的佛性,整个宇宙法界的我们每一个个都成为一体咒语: 南無 三滿多 沒馱喃 唵 度魯度魯 地尾 娑婆訶

就是想表达 依赖神圣的肯定的心,一齐帮助鼓舞,互相救恩相济的菩萨,真正的 远海如来想对我们传达的话。

 

 

Kate Oh Trabulsi: Flowers for All Seasons

The Korean-born, New York-based painter Kate Oh Trabulsi has recently pursued Min-hwa art—traditional Korean painting—as a way of recognizing her origins in Asia. A painter of unusual technical skill, Trabulsi works consistently with lotus flower imagery, which connects with the Korean heritage of Buddhism. These ties, however, do not appear as anachronisms—rather, they strengthen her modern approach, which moves through decorative imagery to a spiritual understanding rooted in contemporary life. By choosing Min-hwa’s direct style, the artist passes on to her audience an imagery that speaks without excessive ornament. The spiritual implications of her work find their outlet in unspoken mediation between the artist’s belief system and that of her audience. In this way, she conveys a reality that broaches her past even as she looks to the present and future in America. Her work, consistent in its flower imagery, demonstrates a regard for symbolic implications that may be found in addition to the deliberate beauty of the picture itself.

The lotus leaf paintings demonstrate their adherence to Korean art history, while at the same time appearing directly modern. One picture of a white lotus, whose leaves are edged in multiple colors, exquisitely delineates the flower’s overall form. In the center is found an aggregation of small colored spheres—they represent the seeds, or center, of the bloom. The seeds, according to Trabulsi, “embody each individual’s dreams and hopes,” so that “each flower contains its own distinctive dream and unique future.” This understanding relates to the notion that we are all different, with different paths to be undertaken in life. Such differences are intrinsic to spiritual recognition of the individuality of people; the artist calls this “differences that are a part of nature’s order.” Thus, Trabulsi’s art moves beyond doctrine to a perception of the world as vastly diverse in a way that reflects the diversity of nature. Yet she implies that a hidden unity joins the diversity into a single vision, one demonstrated by the artist’s work. It is clear that the artist believes in a universal approach in religion.

In Trabulsi’s paintings, often concerned with lotus leaves, we recognize that in reality they are not colored as occurs in her art, so the interpretation of them must be emblematic and symbolic. The center of the lotus is chief to its strength as a Buddhist symbol of faith—of purity, rebirth, and divinity. Clearly, Trabulsi is affected by the host of associations provided by the image; in another beautiful painting, the lotus has black and white leaves, with the colored seeds transforming the center of the plant. But, in addition to the doctrinal illustration of Buddhist precepts, Trabuls has another aim: the transmission of Spirit, Unity, and Enduring Hope. These psychological strengths occur as a counterpart to the specifics of spirituality as the artist sees it.

Great care is taken to create a precisely formed imagery; the leaves overlap each other with exquisite imagery, while the colors of the seeds in the center naturally draw the viewer to contemplate their meaning in a religious sense. Both paintings remind us of religious and spiritual strengths—not by being dogmatically correct but by incorporating intimations of the system responsible for such imagery. Indeed, one part of her work has to do with cosmic relations: in an artist’s statement, Trabulsi asserts that her work “reflects my sense of a well-balanced universe that evolves mysteriously with great power but internal order.” The recognition of this perception may be based in religious insight but carries over to a vast, universal view of the world. Her thought incorporates religious truth but in fact moves beyond it to a universality affecting everyone.

In another large painting, Trabulsi has painted a spiral moving outward and consisting of 108 lotus flowers. Nearly a mandala of consciousness, the image refers to the 108 emotions recognized in Buddhist thought. The red-tipped leaves are striking and even moving within the constellation of their larger pattern. One feels that the painting exercises in a quiet way the precepts of Buddhist mind. Likely, it is not Trabulsi’s conscious thought to draw out the parallels so consciously; instead, as happens with all good art, the points being made are implied rather than didactically dictated. The largest painting Trabulsi has worked on recently is a triptych of colorful lotuses in red, blue, and yellow. They hover in mid-air, against a neutrally colored background. While the piece may start out as an image approaching simple embellishment, the implications of the flowers refuse to let go of their accompanying art history. Trabulsi knows this well, and she uses the beauty of her art to suggest a deeper meaning. Her audience is wise to recognize the implications of her pictures, which compellingly intimate the spirit as well as the existence of psychological unities and the exacting characteristics of fine art.

Jonathan Goodman

December 2014

뉴욕에서 활동하는 한국 출신 작가 케이트 오가 최근 한국의 민속 회화, 즉 민화에 대해 작업하며 아시아에 기반한 자신만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고 있다. 작가는 그녀만의 독특한 기법을 바탕으로 연꽃을 형상화한 이미지들을 끊임없이 그려내는데, 이는 한국의 불교 유산을 화폭 위로 옮겨놓는다. 그러나 이러한 둘의 만남은 시대착오적 발상의 답습이 아닌, 현대적 감각으로 작품을 풀어내고자하는 작가의 의도를 뒷받침 한다. 단순한 장식적인 용도에서 나아가 이제는 현대 삶에 정신적인 영감을 주는 매개체로써의 의의까지 더해진 것이다. 정공법으로 민화를 대하는 작가는, 과도한 꾸밈 없이 본질만을 말하는 이미지 그 자체가 관객들에게 전달되길 의도한다. 이러한 내재적 함축은 대신, 작가와 청중의 신념 사이에 자리한 ‘무언(無言)의 명상’을 매개 삼아 의미를 표출한다.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가는 자신의 과거를 관통해 미국에서 이어진 자신의 현재와 미래까지 생생한 삶의 일부분을 솔직하게 전달한다. 거듭 이어지는 꽃 이미지들은 그림 자체에서 보여주는 심미적 즐거움뿐만 아니라 곧 상징적 함축을 보여준다.

이번 연꽃 연작은 한국 미술사의 흐름을 고수하는 동시에 현대적 모습 또한 담고있다. 꽃잎 끝마다 색색이 물 들은 흰 연꽃 작품에선, 꽃의 전체적인 형태가 수려하게 묘사됐다. 그 중심에 자리해 시선을 끄는 형형색색 작은 구의 집합체는 꽃을 피우게하는 원동력의 중심, 즉 씨앗들을 대표한다. 작가의 말에 따르면 이 씨앗은 “개개인의 꿈과 소망을 구현하는 매개체”로써 각각의 꽃들은 자신만의 독특한 꿈과 유일무이한 미래를 품고있다고 한다. 이러한 이해는 곧 우리 모두는 서로 다른 개별적 존재이며 그러므로 자신만의 다른 길을 찾아가야 한다는 삶의 소명으로 귀결된다. .이러한 차이는 인간의 개성에 대한 정신적 자각에 내재된 것이며, 작가는 이것을 “자연 섭리의 일부분으로서의 제각기 다름”이라고 명명한다.따라서 케이트의 예술은 종교적 교리를 넘어서 가지각색의 만물을 담아낼 수 있을 정도로 방대하고 다양한 세계에 대한 인식까지 포괄한다. 나아가 작가는 작품을 통해 무수히 작아 드러나지 않는 한 개체도 그만의 시각으로 그 큰 다양성에 목소리를 더한다는 것을 넌지시 보여준다. 작가가 종교에 대한 보편적인 접근에 신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연꽃 잎으로 종종 회자되는 케이트 오의 작품을 통해, 우리는 그림에 드러다는 것처럼 현실의 연꽃 잎들이 형형색색 물들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인식한다. 따라서 그림에 대한 해석은 상징성과 전형성의 이해를 필요로 한다. 작품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연꽃의 중심부분은 순수, 재생(再生) 그리고 불법(佛法)을 일컫는 불교 신앙의 상징으로서의 집합체이다. 분명히, 작가는 이미지가 부여하는 관계 그리고 상징성에 영감을 받았을 것이다. 꽃잎을 흑백으로 묘사한 다른 작품을 보면,  그 역시 색색의 씨앗들이 꽃의 중심으로 흘러들어간다. 불교 규범을 묘사한 교리적 삽화에 더해, 케이트 오의 작품세계엔 ‘정신, 화합 그리고 끝없는 희망’을 전하고자 하는 또 다른 의도가 있다. 이러한 내면의 의지는 작가의 관점처럼 정신성의 본질에 대한 대응으로 존재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작가가 구상한 이미지를 정확히 구현하기 위해 세심한 작업이 필요하다. 잎들은 서로서로 포개져 그 정교함을 이루고 있고, 중심에 모인 씨앗의 다채로운 색들은 자연스레 관중의 시선을 끌며 종교적 의미에 대해 생각에 잠길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는 모두 교조적 시비를 가리기 위함이 아니라, 이러한 심상에 관여하는 장치에 대한 시사(示唆) 들을 엮는 방법으로 우리에게 종교적, 정신적 가치를 일깨워준다. 특히 작품의 한 부분은 우주의 관계성과 연관되어 있는데,  작가의 작업 노트에서는 작품이 “천차만별로 다른 우리가 제각각 질서를 유지하면서 조화를 이룬다는 경이로움”을 표현한다고 역설한다. 이러한 자각에 대한 인식은 다분 종교적 성찰에 기반해 있지만 세상에 존재하는 광대하고 보편적인 관점에까지 그 의미가  확장된다. 작가의 시선은 종교적 개념을 포함하고 있지만 실은 누구에게나 영향을 줄 수 있는 보편성까지도 담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큰 작품에선, 108개의 연꽃을 품은 채 밖으로 나아가며 회전하는 나선모양의 페인팅을 볼 수 있다. 만달라의 의식체에 가까운 이 이미지는, 부처의 말씀에서 나오는 108개의 번뇌들을 가리킨다. 끝이 빨갛게 물든 잎들이 우리의 시선을 사로잡으며, 보다 확장된 패턴으로 가득한 무리 속에서 그 동적인 움직임을 나란히 한다. 어떤 이는 이 작품이 부처의 마음을 이해하려하는 조용한 시도라 느낀다. 그 평행선들을 이토록 명확하게 그려내고자 함은 작가의 의식적인 계획에서 비롯한 것이 아니다. 다만 이러한 특징들은, 모든 좋은 작품에서 나타나듯 어떠한 교훈을 주기위해 직접적으로 드러나기보다는 은연중에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작가가 최근 작업한 대형작은 빨강, 파랑 그리고 노랑으로 입혀진 연꽃을 그린 세 폭의 연작이다. 꽃들은 공중에 머물며, 무채색의 배경과 대비된다. 이 작품이 단출하게 꾸며진 이미지로서 출발할 수는 있으나, 꽃의 함축적 의미들은 미술사에 빼놓을 수 없는 연결성을 놓아주길 거부한다. 작가는 이를 잘 알고있으며 따라서 보다 심층적인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작품의 미적 요소를 차용한다. 작가는 결코 쉽지 않은 순수 미술의 특성들, 정신적인 통합체들의 실재(實在)뿐만 아니라 작가 정신까지 설득력 있게 시사한다.  그녀의 작품 세계가 보여주는 이 내재된 의미들은, 관객들 역시 충분히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Jonathan Goodman

December 2014

(번역- Saneun Hwang 황상은)

 

 

 
 
Shirley Glubok&nbsp;신문사 &lt;&nbsp;La Voz Hispana&nbsp;&gt;의 미술 평론가 &lt;the Art of Ancient Egypt&gt;의 저자

Shirley Glubok

 신문사 < La Voz Hispana >의 미술 평론가 <the Art of Ancient Egypt>의 저자

 
 
Jonathan Goodman뉴욕 Pratt institute 교수,&nbsp;Art Writer 

Jonathan Goodman

뉴욕 Pratt institute 교수, Art Writer